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LG에어컨 에러코드 CH 표시별 원인과 조치법(+자가진단, 리셋방법)

LG에어컨 에러코드 CH 표시별 원인과 조치법(+자가진단, 리셋방법)

LG에어컨에서 CH 에러코드가 뜨면 당황스럽죠.

하지만 이 글을 읽으면 각 코드별 원인조치법, 그리고 자가진단 및 리셋 방법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요.

실제 사례와 함께,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자세하게 설명할게요.

궁금증과 고민, 여기서 모두 해결할 수 있어요!

LG에어컨 CH 에러코드란?

LG에어컨에서 CH와 숫자가 함께 표시되면, 제품이 스스로 이상을 감지해 알려주는 신호예요.

이 코드는 고장이나 관리 필요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해요.

모델마다 표시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디스플레이나 LED 램프 깜빡임으로 알려줘요.

CH 에러코드별 원인과 조치법

에러코드는 숫자에 따라 원인과 해결방법이 달라요.

아래 표를 참고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에러코드주요 원인조치 방법
CH01실내 온도센서 이상전원 리셋, 계속되면 전문가 점검
CH02실내 입구 배관센서 이상전원 리셋, 지속 시 전문가 필요
CH03리모컨 통신불량리모컨 건전지 확인, 전원 리셋
CH04드레인펌프 불량배수관/펌프 점검
CH05실내기 – 실외기 통신불량전원 리셋, 통신선 점검
CH07냉난방 동시운전 에러운전모드 통일(냉방 또는 난방)
CH09실내 옵션 PCB 불량전원 리셋, 전문가 점검
CH10실내팬 구속불량전원 리셋, 팬 점검 필요
CH21DC Peak 에러전원 리셋, 전문가 점검
CH22실외기 과전류실외기 이물질 제거, 전원 리셋
CH23압축기 DC Link 저전압전원 리셋, 입력전압 확인
CH25저전압/과전압전원 리셋, 입력전압 점검
CH29실외기 인버터 과전류실외기 이물질, 설치상태 점검
CH32/33냉매부족/배관파손전원 리셋, 냉매량 확인
CH36/38냉매부족전원 리셋, 냉매 충전 필요
CH44실외 온도센서 에러전원 리셋, 전문가 점검
CH53실외기↔실내기 통신에러전원 리셋, 통신선 점검
CH54역상감지 에러차단기 리셋, 전기공사 확인
CH61고압 상승 이상실외기 환경 개선, 필터 청소

각 코드에 따라 조치법이 다르니, 해당 코드가 뜨면 표를 참고해서 순서대로 점검해보세요.

CH 에러코드 자가진단 방법

에어컨이 갑자기 멈추거나 이상 동작을 하면 먼저 아래 순서로 자가진단을 해보세요.

  • 전원 및 리모컨 상태 확인
    전원코드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리모컨 배터리가 정상인지 확인해요.
    휴대폰 카메라로 리모컨 신호도 확인할 수 있어요.
  • 필터 상태 점검
    필터에 먼지가 쌓이면 CH 에러가 자주 발생해요.
    필터를 꺼내 먼지를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뒤 완전히 건조해서 다시 끼워주세요.
  • 실외기 환경 점검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있거나 먼지가 쌓이면 에러가 발생할 수 있어요.
    실외기 주변 60cm 이상 공간을 확보하고, 먼지나 낙엽을 제거해요.
  • 냉방 성능 확인
    리모컨에서 냉방 버튼을 누르고 희망 온도를 18도로 맞춘 뒤 20분 이상 작동시켜요.
    실외기 배관에 이슬이 맺히거나 차가우면 정상이에요.
  • ThinQ 앱 활용
    LG ThinQ 앱을 설치해서 스마트 진단 기능을 사용하면, 에어컨 상태와 에러코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리셋(초기화) 방법

에어컨에서 에러코드가 떴을 때 가장 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리셋 방법이에요.

  1. 전원 코드 또는 전용 차단기를 내렸다가 약 5분 후 다시 올려요.
    대부분의 일시적인 오류는 이 방법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아요.
  2. 스탠드형 제품은 전원 버튼과 온도 내림 버튼을 동시에 3초간 누르면 시운전 모드가 실행돼요.
    띵 소리가 나면 손을 떼고 약 20분간 기다려요.
  3. 필터 청소 알림 초기화
    일부 모델은 필터 버튼을 5초 이내에 3번 누르면 알림이 초기화돼요.
  4. LED 램프 깜빡임 패턴 확인
    빨간색, 초록색, 주황색 등 LED가 깜빡이면, 점멸 횟수와 간격을 보고 에러코드를 해석할 수 있어요.

실제 사례로 보는 CH 에러코드

실제로 CH05 에러코드가 떠서 에어컨이 멈췄던 경험이 있어요.

이때 실외기 전원 차단기를 내렸다가 5분 후 다시 올리니 정상 작동했어요.

하지만 몇 번 반복해서 에러가 발생하면 통신선 연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게 좋아요.

또 어떤 분은 CH22 에러가 여름철 실외기 주변에 먼지가 많이 쌓였을 때 발생했어요.

실외기 청소 후 에러가 사라졌다고 해요.

이처럼 간단한 점검과 청소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아요.

주의사항 및 꼭 기억하면 좋은 점

  • 전원 리셋 후에도 에러가 반복되면 반드시 전문가의 점검을 받아야 해요.
  • 냉매 관련 에러(CH32, CH33, CH36, CH38 등)는 자가조치보다 전문 서비스가 필요해요.
  • 에어컨 필터는 최소 월 1회, 실외기 주변은 시즌마다 점검해주는 게 좋아요.
  • 설치 위치와 통풍 환경도 성능에 큰 영향을 줘요.
  • 정기적인 관리와 점검이 에러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에요.

자주 묻는 질문(FAQ)

Q. CH 에러코드는 왜 자주 발생하나요?

A. 필터 먼지, 실외기 환경 문제, 통신선 연결 불량 등 관리 소홀로 자주 발생해요.

Q. 리셋만 하면 모든 에러가 해결되나요?

A. 일시적인 오류는 리셋으로 해결되지만, 반복되면 반드시 전문가 점검이 필요해요.

Q. 필터 청소는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 최소 월 1회, 사용량이 많으면 더 자주 청소하는 게 좋아요.

Q. 실외기 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A. 실외기 그릴에 쌓인 먼지와 낙엽을 제거하고, 주변 공간을 60cm 이상 확보해요.

Q. ThinQ 앱으로 모든 에러코드를 확인할 수 있나요?

A. 대부분의 최신 모델은 ThinQ 앱에서 스마트 진단으로 에러코드 확인이 가능해요.

결론

LG에어컨의 CH 에러코드는 단순한 경고가 아니라, 에어컨이 스스로 상태를 점검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소중한 신호예요.

각 코드별 원인과 조치법을 알고, 자가진단과 리셋 방법을 차근차근 따라하면 대부분의 문제는 쉽게 해결할 수 있어요.

정기적인 관리와 점검, 그리고 필요할 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에어컨을 오래, 안전하게 사용하는 비결이에요.

이 글을 참고해서 올여름도 시원하고 쾌적하게 보내시길 바랄게요!